왜 푸리에 해석이 중요한가?
실제 세계에서 우리는 다양한 신호를 접하게 됩니다. 음악, 음성, 영상, 전자기파, 온도 변화 등 이 모든 것들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신호이며, 이러한 신호를 수학적으로 해석하고 처리하기 위해 푸리에 해석(Fourier Analysis) 기법이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푸리에 해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푸리에 급수 (Fourier Series): 주기적인 신호를 해석하는 방법
- 푸리에 변환 (Fourier Transform): 비주기적인 신호를 해석하는 방법
1. 푸리에 급수란?
1.1 개념
어떤 함수가 일정한 주기를 갖고 반복된다면, 이 함수를 사인(sine) 과 코사인(cosine) 함수의 무한한 합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푸리에 급수입니다.
여기서
는 평균값(DC 성분)
는 각각의 진동 성분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는 신호의 주기입니다.
이 계수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1.2 예제: 구형파(Square Wave)
아래는 주기 를 갖는 구형파의 예입니다.
푸리에 급수 전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즉, 홀수 고조파만 존재하며, 이는 신호의 비대칭성을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2. 푸리에 변환이란?
2.1 개념
비주기적인 함수는 푸리에 급수로 표현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에는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을 사용합니다. 푸리에 변환은 신호를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바꾸어줍니다.
푸리에 변환 정의:
푸리에 역변환 정의:
여기서 는 허수 단위입니다.
2.2 예제: 단위 임펄스 함수
임펄스는 모든 주파수를 동일한 비율로 포함하므로 푸리에 변환값이 상수입니다. 이를 통해 임펄스가 “모든 주파수를 갖는 신호”라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3. 푸리에 급수와 변환의 차이점
항목 | 푸리에 급수 | 푸리에 변환 |
---|---|---|
대상 신호 | 주기함수 | 비주기 함수 |
표현 방법 | 무한 사인/코사인 합 | 적분을 통한 주파수 표현 |
결과물 | 이산적인 주파수 성분 | 연속적인 주파수 성분 |
응용 분야 | 회로분석, 진동 해석 | 영상처리, 통신, 스펙트럼 분석 |
4. 푸리에 해석의 활용 예시
4.1 전자회로
전자회로에서는 비선형 소자를 통해 발생하는 고조파 분석을 푸리에 급수로 처리합니다. 푸리에 변환은 주로 주파수 응답 분석에 사용됩니다.
4.2 통신
AM, FM, 디지털 변조 방식 모두 푸리에 해석에 기반하여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4.3 영상 처리
이미지 역시 2차원 신호이므로 2D 푸리에 변환을 통해 압축(JPEG), 복원, 잡음 제거 등에 활용됩니다.
5. 푸리에 급수 시각화

6. 마무리 요약
- 푸리에 급수는 주기함수를 사인/코사인으로 분해함
- 푸리에 변환은 일반 함수(비주기)의 주파수 구성 요소를 분석함
- 이 두 개념은 전기전자, 신호처리, 영상처리, 통신, 음향학 등 모든 공학 분야에 기본적으로 사용됨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