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회로에서 과도응답(transient response) 은 회로에 갑자기 전압이나 전류가 인가될 때 전압·전류가 안정 상태로 수렴해 가는 과정을 말합니다. 과도응답을 이해하면 회로의 동작 특성, 안정성, 시간 지연 등을 예측할 수 있어 회로 설계에 필수적입니다.
특히 일차 회로(저항‑콘덴서 또는 저항‑인덕터)와 이차 회로(RLC 회로)의 과도응답은 전자회로 설계, 제어 시스템, 신호 처리, 전력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본이 됩니다.

2. 일차 회로의 과도응답

일차 회로는 하나의 에너지 저장 소자(C 또는 L)와 저항 R으로 이루어진 회로입니다.

2.1. RC 회로의 과도응답

RC 직렬 회로에 계단전압이 걸릴 때 커패시터 전압 vC(t)v_C(t)vC​(t) 은 다음과 같습니다:

v_C(t) = V_{\text{final}} \bigl(1 - e^{-t / (R C)}\bigr)

여기서 VfinalV_{\text{final}}Vfinal​ 은 최종 안정 전압, RCR CRC 는 시정수(time constant) τ\tauτ 입니다. 시정수가 작으면 빠르게 안정화되고, 크면 천천히 변화합니다.

또한 방전 시에는:

v_C(t) = V_{0} e^{-t / (R C)}

이렇게 지수적으로 감소합니다.

  • 초보자 설명: 커패시터는 전하를 저장하고, 저항 R 은 흐름을 제한합니다. 계단 입력 후 전압 변화는 처음엔 빠르다가 시정수에 다가갈수록 느려지는 곡선 형태를 띕니다.
  • 그래프 코드:

여기서는 시정수 τ=RC=1\tau = RC = 1τ=RC=1 단위로 가정하고 그렸습니다.

2.2. RL 회로의 과도응답

RL 직렬 회로에서는 인덕터 전류 iL(t)i_L(t)iL​(t) 가 다음과 같습니다:

i_L(t) = I_{\text{final}} \bigl(1 - e^{-t / (L / R)}\bigr)

시정수는 τ=L/R\tau = L / Rτ=L/R 이고, 전류는 지수적으로 증가합니다. 전원이 제거되면:

i_L(t) = I_{0} e^{-t / (L / R)}

따라서 RL 회로도 비슷한 방식으로 지수 응답을 보입니다.

3. 이차 회로의 과도응답 (RLC 회로)

이차 회로는 저항 R, 인덕터 L, 커패시터 C 로 구성되며, 과도응답의 형태감쇠비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3.1. 회로 방정식

RLC 직렬 회로에서 인덕터 전류 i(t)i(t)i(t) 에 대한 미분 방정식은:

L ,\frac{d^2 i}{dt^2} + R ,\frac{d i}{dt} + \frac{1}{C} i = V_{\text{in}}(t)

특히 계단 입력 Vin(t)=V0 u(t)V_{\text{in}}(t) = V_0\,u(t)Vin​(t)=V0​u(t) 에 대한 응답을 분석합니다.

3.2. 감쇠비 ζ 와 고유주파수 ω₀

정상 상태 분석을 위해 다음을 정의합니다:

\omega_0 = \frac{1}{\sqrt{L C}}, \quad \zeta = \frac{R}{2} \sqrt{\frac{C}{L}}

이때 응답 형태는 ζ 에 따라 달라집니다.

  • ζ < 1: 저감쇠 (Underdamped) → 진동 후 수렴
  • ζ = 1: 임계감쇠 (Critically damped) → 빠른 수렴, 진동 없음
  • ζ > 1: 과감쇠 (Overdamped) → 비진동적, 천천히 수렴

3.3. 저감쇠 경우

\zeta < 1 인 경우:

i(t) = I_{\text{final}} \left(1 - \frac{e^{-\zeta \omega_0 t}}{\sqrt{1-\zeta^2}} \sin\bigl(\omega_d t + \phi\bigr)\right)

여기서 ωd=ω01−ζ2\omega_d = \omega_0 \sqrt{1-\zeta^2}ωd​=ω0​1−ζ2​, 초기 위상 ϕ\phiϕ 는 초기 조건에 따라 결정됩니다.

3.4. 임계감쇠 경우

\zeta = 1 일 때:

i(t) = I_{\text{final}} \left(1 - (1 + \omega_0 t) e^{-\omega_0 t}\right)

가장 빠르게 진동 없이 안정 상태에 도달합니다.

3.5. 과감쇠 경우

\zeta > 1 인 경우:

i(t) = I_{\text{final}} \left(1 - A e^{-\left(\zeta + \sqrt{\zeta^2 -1}\right)\omega_0 t} - B e^{-\left(\zeta - \sqrt{\zeta^2 -1}\right)\omega_0 t}\right)

여기서 상수 A, B 는 초기 조건에 따라 결정됩니다.

3.6. 회로도 및 그래프 코드 예시

회로도에서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에는 문자만 사용했습니다.

4.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게 단계별 설명 요약

  1. 시정수와 감쇠비 개념을 이해한다.
  2. 저감쇠, 임계감쇠, 과감쇠 세 가지 경우를 비교한다.
  3. 수식 응답 형태를 보고 그래프와 연관지어 이해한다.
  4. 회로도를 직접 보고 흐름(전압 또는 전류)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상상한다.
  5. 실습 문제를 통해 개념을 다진다.

5. 정리

  • 일차 회로(RC, RL) 는 단일 지수응답이며, 시정수 RCRCRC 또는 L/RL/RL/R 에 따라 변화 속도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이차 회로(RLC) 는 감쇠비 ζ 에 따라 진동 또는 비진동 과도응답이 나타나며, ζ 에 따라 저감쇠·임계감쇠·과감쇠로 분류됩니다.
  • 실제 설계에서는 목표 응답 시간, 오버슈트 허용치, 안정도 등을 염두에 두고 감쇠비와 시정수를 조절합니다.

대역폭과 품질계수(Q) 완전정복(예제 pdf)

IF YOU WANNA READ DAILYNEWS CLICK HER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