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전기회로를 배우다 보면 반드시 만나게 되는 것이 RLC 회로입니다. 여기서 R은 저항(Resistor), L은 인덕터(Inductor), C는 커패시터(Capacitor)를 뜻합니다. 이 소자들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회로는 전력, 공진, 위상 등의 개념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직렬 및 병렬 RLC 회로에 대해 이론부터 실제 회로 해석, 그리고 실전 문제풀이까지 상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1. RLC 회로란?
RLC 회로는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 세 가지 수동 소자를 포함하는 회로입니다. 이들 소자는 전류와 전압에 각각 고유한 방식으로 반응합니다:
- 저항: 전압과 전류에 비례관계
- 인덕터: 전류의 변화에 저항함
- 커패시터: 전압의 변화에 저항함
이 세 소자가 조합되면 위상차, 공진현상, 임피던스 특성이 나타나며 교류(AC) 해석에서 특히 중요합니다.
2. 직렬 RLC 회로
2.1 기본 구성
직렬 RLC 회로는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가 한 줄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구성: R→L→C\text{구성: } R \rightarrow L \rightarrow C구성: R→L→C

2.2 임피던스
직렬 연결 시 전체 임피던스 는 각 소자의 임피던스를 더해 계산합니다.
여기서:
: 저항
: 허수단위
: 각주파수
: 인덕턴스
: 커패시턴스
2.3 공진 주파수
직렬 RLC 회로는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Resonance)이 발생합니다. 공진 주파수 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진 시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리액턴스가 상쇄되며, 회로의 임피던스가 최소가 되어 전류가 최대가 됩니다.
3. 병렬 RLC 회로
3.1 기본 구성
병렬 RLC 회로는 R, L, C가 각각 전압을 공유하면서 병렬로 연결됩니다. 구성: R∥L∥C\text{구성: } R \parallel L \parallel C구성: R∥L∥C

3.2 어드미턴스
병렬 연결에서는 임피던스 대신 어드미턴스 를 사용합니다. 전체 어드미턴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3.3 공진 주파수
병렬 회로도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합니다. 공진 주파수는 직렬과 동일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 공진 시 전체 전류가 최소가 되고, 임피던스는 최대가 됩니다.
4. 위상 및 전력 해석
4.1 위상각
직렬 RLC 회로의 위상각 :
양수면 유도성(전압이 전류보다 앞섬), 음수면 용량성(전류가 전압보다 앞섬)입니다.
4.2 전력
- 유효전력
:
- 피상전력
:
- 무효전력
: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