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회로에서 다이오드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특히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데 뛰어난 역할을 하기에 여러 회로 설계에 필수적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다이오드의 기본 원리부터 시작해, 다이오드 회로 해석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고, 실제 예제와 문제 풀이까지 진행하겠습니다.
1. 다이오드란 무엇인가?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기본적으로 ‘한 방향 전도, 반대 방향 차단’ 특성을 지니며, 이는 전자회로에서 정류, 신호 제어, 클리핑 등 다양한 기능에 활용됩니다.
다이오드는 P형과 N형 반도체가 접합되어 만들어진 PN접합 소자입니다. 이 접합부를 통해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2. 다이오드의 기본 전기적 특성
다이오드의 작동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압-전류 관계를 알아야 합니다. 다이오드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특성을 가집니다.
- 순방향 바이어스: 다이오드의 P형 단자가 N형 단자보다 높은 전압일 때, 전류가 흐름
- 역방향 바이어스: 반대 방향으로 전압이 걸릴 때, 거의 전류가 흐르지 않음
위 식은 다이오드의 Shockley 방정식으로, 는 다이오드 전류,
는 다이오드 양단 전압,
는 역포화 전류,
는 전자 전하량,
은 이상 계수,
는 볼츠만 상수,
는 절대 온도입니다.
실무에서는 이 복잡한 식 대신 다이오드를 아래와 같이 이상 다이오드 모델로 단순화합니다.
3. 이상 다이오드 모델과 회로 해석 기본법
이상 다이오드 모델은 다음과 같은 가정을 사용합니다.
- 순방향 전압강하가 일정한 값 (통상 0.7V 실리콘 다이오드)이라고 가정
- 역방향 전류는 0 (무한대 저항)로 가정
- 다이오드가 순방향 바이어스일 때는 전류가 자유롭게 흐름 (도체처럼)
이 모델을 사용하면 회로 해석이 훨씬 간단해집니다.
3-1. 순방향 바이어스 다이오드
다이오드가 ON 상태(순방향 바이어스)일 때, 다이오드 양단 전압은 약 0.7V()로 일정하다고 보고, 전류는 회로에 따라 옴의 법칙으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 회로에서:
다이오드가 ON 상태라면 다이오드 양단 전압은 0.7V 이므로, 저항 양단 전압은
따라서 저항 전류는
3-2. 역방향 바이어스 다이오드
다이오드가 OFF 상태(역방향 바이어스)라면, 전류는 0으로 가정하고, 다이오드는 열린 회로처럼 동작합니다. 따라서 전류는 흐르지 않고, 전압은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 전부가 될 수 있습니다.
4. 다이오드 회로 해석 절차
다이오드가 포함된 회로를 해석할 때는 다음 단계를 따릅니다.
- 다이오드의 동작 상태(ON/OFF) 가정
- 각 다이오드 상태에 따른 회로 해석 (옴의 법칙, 키르히호프 법칙 적용)
- 결과로 나온 전압과 전류가 가정한 다이오드 상태와 모순 없는지 확인
- 모순이 있을 경우 다른 상태를 가정해 재해석
5. 다이오드 회로 해석 예제
예제 1: 단일 다이오드 회로
아래와 같은 회로에서 입력전압이 , 저항은
일 때 다이오드 전류와 전압을 구하시오.
해결과정
- 다이오드가 ON이라고 가정 → 다이오드 전압
- 저항 양단 전압은
- 저항 전류는
- 다이오드 전류 = 저항 전류 = 4.3mA → ON 상태 가정과 모순 없음
따라서 다이오드는 ON 상태이고, 전류는 4.3mA 흐릅니다.
예제 2: 역방향 바이어스 상황
입력전압 , 저항
일 때 다이오드 전류와 전압은?
해결과정
- 다이오드가 ON이라고 가정 → 다이오드 전압 0.7V 이상
- 하지만 입력전압이 -5V이므로 다이오드가 역방향 바이어스가 되어 ON일 수 없음
- 따라서 다이오드 OFF, 전류 0
- 다이오드 양단 전압 = -5V (입력전압 전체)
6. 여러 다이오드가 포함된 회로 해석
다이오드가 여러 개일 때는 각 다이오드 상태를 가정하는 조합이 많아져 복잡합니다. 대표적으로 브리지 정류기 회로나 클리핑 회로를 해석할 때 이 방법을 사용합니다.
6-1. 브리지 정류기 회로 해석 예
교류 입력에 브리지 정류기를 연결했을 때 출력 전압과 전류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교류 입력 신호가 플러스일 때는 특정 다이오드 두 개가 ON 상태가 되고, 마이너스일 때는 다른 두 개가 ON 상태가 되어 출력이 항상 양의 전압이 나오도록 합니다.
7. 다이오드의 실제 모델과 온-전압 변화
실제로는 다이오드의 전압강하는 0.7V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전류가 변함에 따라 조금씩 달라집니다. 이는 Shockley 방정식에 의해 결정됩니다.
하지만 전력전자 분야나 기초 회로 해석에서는 보통 0.7V(실리콘), 0.3V(게르마늄)로 단순화해서 계산합니다.
8. 다이오드 회로 해석에서 주의할 점
- 다이오드가 ON인지 OFF인지 반드시 상태를 가정하고 검증할 것
- 다이오드가 OFF이면 전류는 0으로 간주
- 실제 회로에서는 다이오드 온도, 제조사별 특성 등이 다를 수 있음
- 전압 소스가 교류일 경우 시간에 따른 해석 필요 (예: 브리지 정류기)
9. 다이오드 회로 해석 응용 예제
9-1. 클리핑 회로
입력 전압이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클리핑 회로에서 다이오드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해석합니다.
9-2. 클램핑 회로
출력 신호의 기준 전압을 이동시키는 클램핑 회로에서도 다이오드 동작을 분석합니다.
10. 요약 및 결론
- 다이오드는 전류의 흐름을 한 방향으로 제한하는 기본 소자
- 다이오드의 동작을 ON/OFF로 가정하여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
- 다이오드 회로 해석은 가정→계산→검증 과정을 반드시 거침
- 실제 전압강하는 약 0.7V를 기준으로 사용
- 복잡한 회로는 다이오드 상태 가정 조합을 체계적으로 검토
11. 회로도 예제
단일 다이오드와 저항 회로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