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Next →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 완전 정복

1. 서론: 교류 회로에서의 저항 그 이상

직류 회로에서는 저항(Resistance)이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유일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교류 회로에서는 전류의 크기뿐 아니라 위상까지 영향을 주는 여러 요소가 작용하게 됩니다. 이때 등장하는 개념이 바로 ‘임피던스(Impedance)’와 ‘어드미턴스(Admittance)’입니다. 이 두 가지는 교류 회로 해석의 핵심이며, 복소수 표현을 통해 전압과 전류의 위상 관계를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2. 임피던스란 무엇인가?

임피던스는 교류 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직관적으로는 교류 회로에서의 저항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더 나아가 위상차까지 고려해야 하므로 복소수로 표현됩니다.

▷ 임피던스의 정의

 Z = R + jX

여기서

  •  R : 저항(실수 성분)
  •  X : 리액턴스(허수 성분)
  •  j : 허수 단위로,  j^2 = -1

3. 리액턴스와 그 유형

리액턴스는 전압과 전류 사이에 위상차를 발생시키는 성분입니다. 이는 커패시터나 인덕터에 의해 발생하며,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 인덕터의 리액턴스

 X_L = \omega L

커패시터의 리액턴스

 X_C = \frac{1}{\omega C}

여기서  \omega = 2\pi f 는 각주파수입니다.


4. 임피던스의 종류별 표현

  • 저항  R :  Z = R
  • 인덕터  L :  Z = j\omega L
  • 커패시터  C :  Z = \frac{1}{j\omega C} = -j\left( \frac{1}{\omega C} \right)

5. 어드미턴스란?

어드미턴스는 임피던스의 역수이며, 전류가 얼마나 잘 흐를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단위는 지멘스(Siemens,  \si{\siemens} )입니다.

 Y = \frac{1}{Z} = G + jB

여기서

  •  G : 컨덕턴스(저항의 역수)
  •  B : 서셉턴스(리액턴스의 역수 성분)

6.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 관계 예제

 Z = 4 + j3 \quad \Rightarrow \quad Y = \frac{1}{4 + j3}

분모 유리화:

 Y = \frac{1}{4 + j3} \cdot \frac{4 - j3}{4 - j3} = \frac{4 - j3}{25} = 0.16 - j0.12

즉,

 G = 0.16, \quad B = -0.12


7. 교류 회로에서의 활용

직렬 회로의 임피던스 합

 Z_{\text{total}} = Z_1 + Z_2 + \cdots + Z_n

병렬 회로의 어드미턴스 합

 Y_{\text{total}} = Y_1 + Y_2 + \cdots + Y_n


8. 임피던스 벡터와 페이저 표현

교류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는 사인파 또는 코사인파로 표현되며, 이들은 페이저로 변환되어 분석됩니다.

예:

 v(t) = V_m \cos(\omega t + \theta) \Rightarrow \text{Phasor: } \mathbf{V} = V_m \angle \theta

이때 임피던스는 페이저 전압과 전류의 비로 정의됩니다.

 Z = \frac{\mathbf{V}}{\mathbf{I}}

페이저(Phasor) 해석의 이해와 활용법: 전기 회로 해석의 핵심 도구

정현파의 수학적 표현과 전기회로에서의 활용 이해하기

← PrevNext →

IF YOU WANNA READ DAILYNEWS CLICK HERE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