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응답과 정상상태란?
전기회로를 분석할 때 시간에 따른 동작을 해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회로에 전압이나 전류가 인가될 때, 회로는 즉시 안정된 동작을 하지 않습니다. 처음에는 전압이나 전류가 급격히 변하는 과도현상(Transient Response) 이 나타나고, 시간이 지나면 정상상태(Steady-State) 로 수렴하게 됩니다.
이러한 두 가지 반응을 구분하고 해석하는 능력은 회로이론의 핵심 중 하나입니다.
1. 과도응답(Transient Response)
과도응답이란 회로에 입력이 주어졌을 때, 회로의 출력(전압 혹은 전류)이 평형 상태에 도달하기 전까지의 반응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스위치를 켰을 때 처음 전구가 깜빡이거나, 충전 중인 콘덴서의 전압이 변하는 과정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발생합니다:
- 회로에 스위치를 넣거나 뺄 때
- 전원 공급이 순간적으로 변화할 때
- 초기 조건(콘덴서에 저장된 전하, 인덕터의 전류 등)이 있을 때
대표적인 과도응답 수식
RC 회로에서 스텝 전압 가 인가되었을 때, 콘덴서 전압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이 때 는 시간상수(Time Constant)라고 하며,
일 때 전압은 약 63.2% 도달합니다.
2. 정상상태(Steady-State)
정상상태란 시간 일 때, 즉 충분한 시간이 흐른 후 회로의 전압과 전류가 일정한 값에 도달하여 변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예를 들어, 위의 RC 회로에서 시간이 충분히 흐르면 이 되어,
가 됩니다. 즉, 콘덴서는 완전히 충전된 상태로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게 됩니다.
3. 과도 + 정상상태의 조합
실제 회로 응답은 아래와 같은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 중 는 시간이 지나면 0에 수렴하고,
는 일정한 값에 수렴합니다.
4. 예제: RL 직렬회로
다음과 같은 RL 직렬 회로를 고려합시다.

스위치가 닫히는 순간부터 시간에 따른 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초기에는 전류가 0이고, 시간이 지날수록 에 수렴합니다.
5. 그래프 예시
아래 그래프는 RC 회로의 과도응답과 정상상태를 보여줍니다.

위의 곡선은 으로 정상상태는 1에 수렴합니다.
6. 과도응답 해석 절차
- 스위치 작동 전 상태 파악: 초기조건 확인
- t = 0 시점의 동작: 급격한 변화 확인
- 1차 미분 방정식 설정: KVL 또는 KCL 이용
- 해 일반해 + 특수해 구함
- 초기조건 적용하여 상수 결정
- 최종 응답 해석
7. 회로의 종류별 과도응답 요약
회로 종류 | 과도응답 형태 | 시간상수 |
---|---|---|
RC 회로 | ![]() | ![]() |
RL 회로 | ![]() | ![]() |
RLC 회로 | 진동 또는 감쇠진동 | ![]() |
8. 결론
과도응답은 회로의 본질적 성질을 드러내는 중요한 개념이며, 시스템의 안정성과 반응속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 정상상태는 회로가 최종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를 통해 steady output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회로 해석을 정확하게 하려면 과도와 정상상태를 분리하여 생각하고, 각 상태에 대한 해석 방법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Leave a Reply